JavaScript
![[JS]2021-1107 localStorage로 사용자 정보 저장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F7hxR%2Fbtrj4VzJxdx%2FsxFXTOceRSznrkqpsMJC8k%2Fimg.gif)
[JS]2021-1107 localStorage로 사용자 정보 저장
nomadcoders VanilaJS #4.3~7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localStorage 브라우저 상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api로, key와 이에 대응하는 value를 가진다. localStorage는 key에 대응하는 value값 찾기 혹은 삭제하기 등 여러 method가 있는데, 예를 들어 localStorage.getItem("key");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, "key"라는 key값에 대응하는 value를 return 해주며, key와 value는 항상 string이다. 만약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다면 null 값을 반환받는다. 참고로 Web Storage에는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 두 가지가 있다. localStorage는 웹페이지의 세션..
![[JS]2021-1104 form태그, event.preventDefault(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o0pSf%2FbtrjWk6FzWH%2FDiqz3NXm4I0zSSqHZaPDfk%2Fimg.gif)
[JS]2021-1104 form태그, event.preventDefault()
nomadcoders VanilaJS #4.1~2. form 태그를 쓰는 이유 html태그로, 사용자로 부터 정보를 받아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. 로그인, 회원가입 등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서버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! (로그인 기능 만들 때 왜 div 안에 넣지 말고 form에 input을 써야하는지 잘 몰랐었는데, 오늘 알게됨.) Log in 위와 같이 input 태그를 통해 간단한 유효성 검사를 할 수 있다. input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, 이를 자바스크립트로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. function onLoginSubmit() { const username = loginInput.value; if (username === "") { alert("Please write your ..
[JS]2021-1016 (노마드코더 VanilaJS #2.9~2.16)
[Object, Function 복습] const calculator = { add: function (a,b) { console.log(a+b); }, minus: function(a,b) { console.log(a-b); }, divide: function(a,b) { console.log(a/b); }, powerOf: function(a,b) { console.log(a**b); } } calculator.add(10,5); calculator.minus(10,5); calculator.divide(10,5); calculator.powerOf(10,5); [Return] return을 사용하는 이유 : 함수의 결과 값을 반환시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. const calculator = { a..